사서 참고자료

도서관자동화 토픽

kdy820 2018. 10. 26. 20:36

도서관자동화 토픽

 

 

1. 마크업 언어의 특징과 쓰임새

   가. SGML(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1) 개괄적 마크업 언어로써 원래는 표준적인 방법으로 상호 운용성 있게 전자문헌을 생성, 편집하고 출판하기 위해 만든 표준언어임.

     2) SGML을 이용한 전문검색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

       ① 문헌을 표준적인 방법으로 구조화 시킬 수 있다.

       ② 텍스트 검색시스템에서 문헌요소테이블을 검색의 접근점으로 활용할 수 있다.

       ③ 문헌요소명으로 탐색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문헌요소간의 관계를 탐색문에 반영할 수 있다.

       ④ 출력의 범위를 텍스트 내용의 일부분으로 제한할 수 있다.

       ⑤ 검색된 텍스트 내용을 파일로 저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텍스트 파일에 대한 포인터 리스트도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나.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1) 텍스트 형식의 일종으로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대부분의 것들이 web을 통해 이 문서에 담겨 배포된다. 확장자가 ‘.htm’이나 ‘.html'로 되어 있음.

     2) 이들 파일을 보기 위해서는 Explorer(MS)Chrome(Google), Firefox (Mozilla, Netscape)와 같은 웹 브라우저가 필요함.

     3) DB를 구축할 때 HTML의 최신버전으로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이용자 환경이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기 때문에 HTML 데이터를 제대로 읽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다.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1) 기존의 HTMLSGML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정된 마크업 언어. (현대 혹은 고대) 미술작품 DB의 구축과 검색, 혹은 설계 및 구현 등 영상(화상) 문자의 처리에 강점을 가진 언어로써 차세대 웹문서 포맷으로 부각되고 있는 언어

         - W3C에서 제안한 국제표준의 전자문서 메타언어

         - 웹에서 구조화된 문서를 전송 가능하도록 설계된 표준화된 텍스트 형식

         - 문서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의 독립성을 보장하게 함으로써 문서의 호환성, 내용의 독립성, 요소변경의 용이성 등의 특색 제공

          - 이에 따라 최근 XML에 대한 활용이 늘어나면서 이들 문서에 대한 구조화 및 검색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음

         - 특히 SGML과 같이 구조적인 특성을 가지면서도 SGML보다 사용하기 쉽게 정의되어 있어 사용추세는 계속 늘어날 전망임.

      2) XML의 강점과 특징

        ① 프로그램의 호환성 문제 극복에 큰 역할

        ② 중립적인 방식으로 정의

        ③ 지원 S/W가 풍부

        ④ 프로그램 설계와 개발을 편리하게 만듦

 

2. 디지털 장서 사용 현황

   전자책과 VOD, AOD는 학교도서관, 공공도서관, 전문대학 등에서 사용하는 비율이 높고, DB, 전자저널은 연구중심 4년제 대학에서 사용하는 비율이 높다.

 

3. SI 접두어

   가. 기억 용량의 단위

       1(), 10(데카, deca, da, ), 10²(헥토, hector, h, ), 10³(킬로, kilo, k, ), 10(메가, mega, M, 백만), 10(기가, giga, G, 십억), 10¹²(테라, tera, T, ), 10¹(페타, peta, P, 천조), 10¹(엑사, exa, E, 백경), 10²¹(제타, zetta, Z, 십해), 10²(요타, yotta, Y, )

   나. 계산 속도의 단위

       10¹(데시, deci, d, 십분의 일), 10²(센티, centi, c, 백분의 일), 10³(밀리, milli, m, 천분의 일), 10⁻⁶(마이크로, micro, μ, 백만분의 일), 10⁻⁹(나노, nano, n, 십억분의 일), 10¹²(피코, pico, p, 일조분의 일), 10¹(펨토, femto, f, 천조분의 일), 10¹(아토, atto, a, 백경분의 일), 10²¹(젭토, zepto, z, 십해분의 일), 10²(욕토, yocto, y, 일자분의 일)

 

4. 황의 법칙과 무어의 법칙

   가. 황의 법칙 : 하나의 마이크로칩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은 매년(12개월) 2배씩 증가한다.

   나. 무어의 법칙 : 반도체칩의 집적도는 16개월(18개월)2배씩 증가한다.

 

5. 보그만의 관점에 의한 버클랜드, 롤리의 DL 세대 구분

 

   가. 보그만의 2가지 관점의 DL

     1) Computer Science 관점 : 디지털 콘텐츠의 수집, 관리

        (공학적관점, programming) - 2차산업(생산)

     2) Library Science 관점 : 디지털 정보서비스의 제공

       (문헌정보학적 관점, 도서관 현장 서비스) - 3, 4차산업(유통, 서비스)

 

    나. Buckland 도표 - 문헌정보학적 관점

세대

도서관 호칭

정보기술의 도서관 응용단계

1세대

 

Paper

2세대

기계화도서관

Automated

3세대

 

Erectronic

 

    다. J. Rowley 도표 - 컴퓨터공학적 관점

세대

SW언어

DBMS

데이터

교환

용량

시스템

구조

인터

페이스

1세대

독점적

독점적

(계층적)

전무

제한적

공유

(shared)

명령어

2세대

C,

어셈블리어

독점적

제한적

향상됨

공유

메뉴

3세대

4세대언어

관계형(RDB), 객체지향형

표준형식으로 가능

무제한적

분산

(distributed)

GUI

 

6. Client/server model

   가. 서비스의 제공을 남에게 요구하는 클라이언트 프로세스와, 클라이언트 프로세서로부터의 요구에 대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프로세스의 두 개로 프로세서를 나누어, 필요한 처리를 행하는 프로세스간 통신모델

   나. 이 모델에서는 복수의 사용자가 똑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일이 많은 경우, 서브프로세스는 한 개만 실행시키고, 클라이언트 프로세스를 필요한 수만큼 실행시키면 되기 때문에 하드웨어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7. 디지털도서관을 의미하는 용어들

   가. EL(Electronic Library) : 전자도서관

   나. VL(Vitual Library) : 가상도서관

   다. UL(Ubiquitous Library) : 유비쿼터스도서관

   라. the Library without the wall

   마. the Library beyond the wall

   바. the Library as Electronic Switching Center

   사. the Bionic Library

   아. Multimedia Library

   자. Open Library

   차. Information Cafe

 

8. DL의 기본요건으로서 통합성, 개방성, 보존성

   가. 통합성

    1) 통합성의 전제조건 3가지 : 협업성, 상호운용성, 네트워크화

    2) 통합성의 3가지 유형(통합의 대상들)

      ① 정보자원 - 데이터의 통합접근 환경 제공

      ② 정보서비스 - 서비스 환경의 통합

      ③ 시스템의 통합 - 단일 시스템 구축 목표

   나. 개방성 : 정보접근, 응용서비스 접근

   다. 보존성 : 정보자원의 영구적 보존과 접근

 

9. In-house systemTurnkey system의 차이점과 특징

   가. In-house system

     1) 자체개발 시스템, 현재는 멸종하였음.

     2) 특징

       가) 조직체내 산재하는 디지털 자원의 통합관리

       나) 포털기반의 통합서비스 및 개인화서비스 등장

       다) 메타데이터 변환에 대한 요구 증가

   나. Turnkey system

    1) 컴퓨터 시스템 공급자가 컴퓨터 사용에 필요한 모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주고 사용자교육, 사후관리까지 책임지는 시스템, 패키지 시스템이라고도 부름

    2) 특징

      가) 분산환경의 디지털도서관 연동                나) 전문영역별 디지털도서관 등장

      다) 각종 부가가치 서비스 제공                     라) 메타데이터 상호운용성 요구

      마) XML/RDF에 의한 메타데이터 처리기술    ) OAIS, OAI와 같은 표준화 모델 등장

      사) 도서관 2.0 개념/시맨틱 웹기술 적용        아) 유비쿼터스 서비스 적용

 

10. 인터라넷과 인터넷의 차이, 사용되는 곳

   인터라넷(내부 네트워크)은 별도의 통신망 없이 기업 내부의 업무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해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회사, 공공기관 등에서 사용하며, 외부인은 접속할 수 없다. 이에 반해 인터넷은 인트라넷 사용 기관 및 일반인들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11. 디지털도서관의 기능적 운영체제와 외부지원 운영체제

   1) 기능적 운영체제

     ① 디지털 장서 관리  디지털 객체관리  메타데이터 관리 정보서비스 요소기술관리

   2) 외부지원 운영체제

     ① 이용자 표준화 저작권 연구개발 운영기반 기술

 

12. 디지털도서의 납본

   신간도서를 발행하였을 때, 또는 판권을 얻으려할 때 법에 의하여 규정된 관청이나 도서관에 납입하는 도서를 납본이라 한다. 우리나라의 납본도서관은 국립중앙도서관이며, 납본도서에 대한 납본보상금을 지급한다.

 

13. 자동제출 납본과 자동수집 납본

   가. 자동제출 납본 : 디지털 콘텐트의 생산자가 납본시스템에 콘텐트를 직접 제출하여 납본하게 하는 행위

   나. 자동수집 납본 : 납본 대상을 파악하여 시스템이 자동으로 납본을 받는 것

 

14. 디지털 장서구축의 원칙

    가. 문서화된 명시적 장서개발정책에 따라서 생성된다.

    나. 장서의 특성을 이용자가 탐색가능 하도록 기술되어야 한다.

    다.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어야 한다.

    라. 이용에 불필요한 방해가 없어야 한다.

    마. 지적재산권을 존중한다.

    바. 유용성에 대한 표준화된 측정값이 기록되도록 한다.

 

15. 전자저널과 웹DB의 차이점

   가. DB : 논문, 기사의 원문(full-text), 서지사항을 웹 형식의 이용자 환경에서 검색하고 결과를 제공받게 해준다.

   나. 전자저널 : 논문투고, 심사, 편집, 출판, 이용 등이 모두 전자적으로 처리된다.

 

16. 인공지능의 종류

   가. 약인공지능(ANI, Artificial Narrow Intelligence)

        ‘특정 영역에서 사람과 비슷한 수준을 발휘할 수 있는 인공지능이다. 자동차의 잠금장치 브레이크 시스템, 사람과 대화할 수 있는 아이폰의 Siri, 구글의 번역기 등은 모두 약인공지능에 속한다. 현재의 우리는 약인공지능의 시대에 살고 있다.

   나. 강인공지능(ABI, Artificial Broad Intelligence)

         인간과 완전히 같은 수준의 지능을 발휘할 수 있는 인공지능이다. 강인공지능은 약인공지능과는 달리 제한된 분야가 아닌 모든 분야에서 지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강인공지능은 인간과 같은 수준의 감성과 직감을 느낄 수 있다.

    다. 초인공지능(ASI, Artificial Super Intelligence)

         과학기술 창조, 일반적인 지식, 사회적 능력 등을 포함한 거의 모든 영역에서 제일 총명한 인류의 두뇌보다 훨씬 더 총명한 인공지능이다.

 

17. 도서관 업무의 자동화에서 대출시스템이 가장 먼저 자동화된 이유

    도서관의 업무 중에서 대출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고, 횟수가 빈번하므로 자동화되었을 때의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18. 음성, 문자 인식이 좀 더 용이한 언어(정확하지 않음)

   가. 음성 : 일본어 - 한국어 - 영어의 순으로 음성 인식이 용이하다.

   나. 문자 : 영어 - 일본어 - 한국어의 순으로 문자 인식이 용이하다.

 

19. 목록형 장서와 원문형 장서의 차이

   가. 목록형 장서 : 참조 데이터베이스(문헌 데이터베이스, 서지 DB)이다. 기사나 논문 등의 저자명, 제목, 주제명, 발행사항 등의 서지정보나 초록을 수록하여 원자료를 안내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나. 원문형 장서 : 사실 테이터베이스(Source DB, Full-text DB, 原文DB, 全文DB)이다.

     1) 통계데이터를 수록한 수치 데이터베이스

     2) 백과사전의 내용을 수록한 문자정보 데이터베이스

     3) 화상정보, 영상정보, 음성정보 등의 사실형 데이타베이스

 

20. 소유형 장서와 접근형 장서의 차이

   가. 소유형 장서 : 서지/색인, 원문DB, 레파지토리 장서 등 디지털도서관이 특정한 목적의 장서제작 프로그램에 따라 구축한 것이기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장서의 소유권은 해당기관이 가진다.

   나. 접근형 장서 : 라이선스(licensed collection)를 의미하며, 해당기관이 아닌 외부의 개인이나 기관, 단체에서 상업적 유통의 목적 또는 공공유통의 목적으로 제작하여 구축한 장서이다. 디지털도서관에서 라이선스를 취득하여 정보서비스를 제공한다.

 

21. 클라우드 소싱(crowd sourcing)의 내용, 사례

   대중(crowd)과 외부자원활동(sourcing)의 합성어이다. 제품 개발이나 서비스 개선 과정에서 회사나 조직 내부 인적자원에만 의존하지 않고, 네티즌이나 일반 소비자 의견을 적극 수용해 반영하는 방식을 뜻한다. 이를 통해 소비자나 네티즌이 원하는 바를 파악하고 제품을 구매하도록 하거나 정책을 홍보할 수 있다. 클라우드 소싱은 제프 하우(Jeff Howe)에 의해 20066월 와이어드(Wired) 잡지에 처음 소개되었다. 고객의 의견을 반영하여 신제품을 생산하는 의류회사를 예로 들 수 있다.


22. ELDL의 차이점 3가지

   디지털도서관(Digital Library)은 초록, 목록, 색인 등 서지정보 중심의 전통적인 도서관 에서 다루는 텍스트 정보 외에도 Full-text 정보의 사용 & 제공, 음성, 화상, 동영상이라고 하는 기존의 다양한 미디어를 전자미디어에 축적하는 기술, 그 위에 지금까지의 데이터를 원격지에 송신하는 통신기술이 결합된 도서관이라는 점에서 전자도서관과 차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