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서 참고자료

주제별 참고정보원

kdy820 2018. 10. 27. 20:31


주제별 참고정보원

 

 

1. 참고정보원의 종류

. 일차적 참고정보원(원하는 정보를 직접 제공해 주는 것)

사전 : 언어사전, 주제사전(용어집), 인명사전, 지명사전

백과사전 : 일반백과사전, 주제백과사전, 전문사전

연감, 연보, 연차보고서

편람, 매뉴얼, 다이제스트

명감 : 인명록, 기관단체명감, 회사명감

도감, 도록

연속간행물 : 잡지, 신문

정부간행물

인포메이션 파일 : 팜플렛, 오림자료, 자원파일

. 이차적 참고정보원(정보의 소재를 지시해주거나 한 문헌의 존재유무를 알려주는 정보원)

색인 : 잡지기사색인, 신문색인, 서평색인

초록

서지 : 종합서지, 주제서지, 해제서지

목록 : 장서목록, 종합목록

 

2. 현행선택 안내자료

. 서평지

    ① The Booklist : 참고사서들이 새로운 참고자료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가장 먼저 관심을 두는 매체, 사서와 교사들이 쓴 서평은 권위 있는 것으로 정평, 한 해 대략 100-150개 정도의 참고자료 소개, 서평은 대상 자료 출판 후 6개월을 넘지 않음, CD-ROM과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세부적인 서평문 제공, 인터넷으로 접근 가능.

   ② Choice : 매호의 “Browes Review"”Reference" 부분에서 대학도서관에 유용한 자료를 소개, 교수와 사서들이 쓴 간략하고(120~150단어) 비평적인 서평문, 매년 6,800종의 서평문을 싣고, 이 중에서 참고도서는 약 500,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서평문 제공

. 서평색인

   ① 기존 서평지로부터 서평문을 발췌하고 요약하면서 서평지의 소스를 밝힘 : Book Review Digest(약칭 BRD)가 대표적, 오래되고 잘 알려진 서평지로 사서들이 최초로 서평을 찾을 때 출발점이 됨, 비교적 잘 알려진 자료를 선택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 비소설 자료는 그렇지 않다.

   ② 서평문을 싣지는 않고 특정 자료가 어느 서평지에서 서평되었는지 지시 : Book Review Index(약칭 BRI)가 대표적, 1965년부터 지금까지 900종 이상의 정기간행물에서 서평 기사를 색인, 서평의 소스만 밝힘, 별로 주목받지 못하는 표제, 특히 전문 서적이나 덜 대중적인 책에 대한 서평 기사를 찾을 때 유리

 

3. 전자 매체를 위한 선택 안내자료

   가. 국내에는 적절한 자료 없음.

   나. Gale Directory of Database : 현행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서지로 현재 이용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만 수록, 인쇄본은 전체 2권인데, 1권은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2권은 CD, DVD, 디스켓, 마그네틱 테이프 등의 형태로 된 데이터베이스, 인터넷에서도 이용 가능

   다. 이 외에 최신 데이터베이스에 관한 정보는 Online, Database와 같은 잡지 이용.

 

4. 참고정보원의 구입

대규모 서적 도매상을 이용(업무간소화, 할인혜택, 업무능률), 대규모 인터넷 서적상 활용 늘어남.

. 외국자료의 구입

   ① 수입 대행업체 : 교보문고, 동양물산, 구미무역, 범문사 등, 정확성과 신속성이 떨어짐.

   ② 구입업무 온라인 처리 시스템 : 예를 들어 구미무역 외서정보서비스

   ③ 도서관 직접 구입 : 외국의 대형서점이나 출판사를 통해 직접 구매

   ④ 인터넷이나 국내의 가상서점을 통해 구입 : 아마존, Blackwell서점, 일본서적의 경우 키노쿠니야 서점 이용 직접 구입 가능

. 국내자료의 구입

   ① 서적상 : 재고목록 배포로 선택 용이, 정부기관 참고자료는 교보문고에서 구입

   ② 인터넷 가상서점 : 교보문고, 인터파크, 영풍문고, YES24.

. 협동구입

   ① 전자저널 국가컨소시엄(KESLI : Korean Electronic Site License Initiative) : 전국 교육기관, 연구기관, 기업체 도서관을 대상으로 해외 학술전자저널의 공동 구매사업

   ②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학술DB 공동구매

   ※ 최근 KESLI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은 공동으로 해외DB 공동구매사업 진행

. 절판자료의 구입 : 고서점을 통해 구입

 

5. 미국의 가상참고서가(주관식)

가상참고서가는 미국이 가장 잘 운용, 대표적으로 IPL(Internet Public Library), MeL(Michigan eLibrary), 일리노이대학교의 Online Reference Collection, Refdesk.com이 잘 운용

 

. IPL(http://www.ipl.org)

1955년 미시건대학 문헌정보학과 대학원의 프로젝트 형식, 오늘날 공공목적의 가상참고서가

   ① Resources by subject : 이 서비스의 핵심영역으로 주제별 참고정보원을 제공, 예술 및 인문과학, 경영, 컴퓨터, 교육, 오락, 건강, 법률 & 행정, 종교, 과학기술, 사회과학 등 분류

   ② Newspapers & Magazines : 미국(각 주별 세분),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등 전 세계 신문과 잡지 제공

   ③ Special Collections Created by ipl2 : IPL에서 직접 개발, 주관하는 정보원에 대한 링크

   ④ For Kids : 어린이들에게 유용한 자원 안내

   ⑤ For Teens : 10대 학생과 학부모에게 유용한 정보원

 

. MeL(http://www.mel.org)

미시건 주의 전자도서관으로 저널 및 신문기사, eBook, 평가된 웹사이트를 포함.

   ① MeL Database : 전체 검색, 주제별 참고정보원으로 예술, 경영경제, 교육 등 16개 주제 분야의 20,000개 이상의 인터넷 참고정보원 열거, 어린이 및 10대 학생들을 위한 인터넷 자원을 제공

   ② MeL Cat : Mel Cat에 참여하는 도서관 상호간의 책, 오디오책, 영화, 음악 등의 상호대차

   ③ MORE : 교육관계자를 위한 온라인 정보, 미시건 주 교육계획에 따른 교육과정 등

   ④ Featured Resources : 미시건 주와 미 전역의 발전적인 주제에 대한 정보

   ⑤ MeL Michigana : 미시건 주의 역사적 자료

   ※ 미시건 주 거주민을 위한 잡지와 전자책 서비스 실시

 

. 일리노이대학교(UIUC) 도서관의 Online Reference Collection

(http://www.library.uiuc.edu/rex/erefs) 연감, 사전 등 25개 유형의 참고정보원으로 구성

   ① 각 유형 아래 도서관 구독 유료정보원과 무료정보원으로 구분하여 유료정보원은 해당 대학 구성원들만 이용

   ② 접근하기 쉬운 분류체계와 정보원에 대한 요약성과 정확성, 그리고 좀처럼 데드링크가 발견되지 않는 정보의 최신성 등에 높은 평가

 

. Refdesk.com(http://www.refdesk.com)

Bob Drudge에 의해 1995년 처음으로 소개된 상업적 가상참고서가로 가장 광범위하고 유용한 사이트

장점 : 빠른 접근과 직관적이고 쉬운 내비게이션 기능, 포괄적인 내용과 합리적인 색인 제공

단점 : 상업 사이트의 특성상 많은 광고 포함, 초기 화면의 복잡한 분류체계로 탐색에 어려움

 

6. 백과사전의 종류

. 편찬목적과 기술형식에 따라

    ① 대항목중심사전 : 지식을 체계있게 조직하여 연관된 사항들을 하나의 종합체로서 전달, 학술적 성격, 교육적 기능, 기술형식은 논술형, 이용대상은 학자와 전문가이며, 대표적인 사전은 Encyclopedia Britannica

    ② 소항목중심사전 : 신속한 지식의 전달을 위하여 관련된 각 사항들을 세분화하여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사전, 참고적 기능을 강조, 기술형식은 간결하며, 이용대상은 비전문가임, 대표적인 백과사전은 독일의 Brockhaus

    ③ 병용한 사전 : 교육적 기능+참고적 기능, 최근 많은 백과사전이 이러한 형식, 대표적인 백과사전은 우리나라의 두산세계대백과사전’, 미국의 Encyclopedia Americana

    ④ 정보중심사전 : 기사를 압축하고, 통속적인 설명은 제외하며, 정의를 정확하게기술하고 있는 데스크형 사전(즉답형 질문에 유용한 사전), 대표적인 백과사전은 The New Colombia Encyclopedia

. 수록하는 주제범위에 따라

일반백과사전 주제백과사전 전문사전

 

7. 백과사전의 발달 과정/구미

. 17세기

    ① 알스테드 : 1630년 분과식 백과사전 발행, 진정한 의미의 근대식 백과사전

    ② 모레리 : 1674년 출판한 백과사전에서 전 항목을 알파벳순 배열

    ③ 베일 : 1697년 출판한 백과사전의 각 항목마다 편자의 설명 외에 저명인사의 견해 발췌로 과학적이고 탐구적인 편찬방법 적용

. 18세기

    ① 해리스(영국) 1704년 백과사전 편찬, 프랑스 번역에 의존하던 영국에서 독자적인 사전편찬의 새로운 길 개척, 저명한 학자들의 분담 집필로 권위를 높임

    ② 체임버스(영국) 1728년 백과사전 편찬, 여러 나라 저명한 학자들의 분담집필로 권위를 높임, 상호참조법을 사용하여 관련항목을 연결시켜 백과사전의 새로운 길 개척, 디드로에게 영향

    ③ 디드로(프랑스) 1751~1772Encyclopedia 편찬, ‘근대 백과사전의 금자탑이라 불림, 21명의 권위 있는 기고자 분담 집필, 계몽주의 작가들 대거 참여, 30년의 세월에 걸쳐 완성하였으며, ‘학습의 보고’, ‘지식의 요약이라 불림. 영국의 Encyclopedia Britannica에 영향

    ④ Encyclopedia Britannica(영국) : 3권으로 1768~1771년 편찬, 대항목중심주의, 디드로가 누락했던 역사와 전기 기술, 오늘날 가장 오랜 전통과 권위를 가진 백과사전으로 불림

. 19세기

     ① Brockhaus : 1808년 독일의 브록하우스사가 편찬, 일반 시민들이 보기 쉽도록 소항목주의 채택, 항목마다 기고자의 서명을 붙여 책임감을 높이고, 서지자료 첨부로 백과사전의 현대화 완성

     ② Britannica : 계속적인 수정 보완, 18899판은 학자판으로 불릴 정도로 기고문에 서명, 상세한 색인과 서지 첨부, 19851988년 즉답형 요약판으로 내용이 추가경신됨, 1993CD-ROM, 1994년 인터넷 버전이 나옴, 가장 중요한 특징은 상호참조, 색인의 상세함.

    ③ Americana : 1829Brockhaus 7판을 본받아 중소항목 중심의 대중적 백과사전 지향, 1883년 갱신하여 전30권의 완전 개정판 발행, 미국적 항목과 과학기술 분야에 중점

 

8. 미국의 백과사전

. Encyclopedia Britannica

역사상 가장 오랜 전통과 권위, 고도의 학술적 수준을 유지, 초판은 1768년에 처음 발행되어 3년 동안은 한 권으로 발행되었고, 1771년에는 총 3권 세트로 완간, 2판은 1777~1784년에 10권으로 발행, 미국에서는 1790년 처음으로 필라델피아에서 해적판으로 만들어짐, 12(1921~1922)과 제13(1926)에는 권수가 추가, 1938년 브리태니커 연감 처음 발행, 전문화, 세분화되어 가는 학문의 추세와 참고적 기능을 중시하는 현대인들의 취향에 맞추기 위해 197430권으로 구성된 제15판이 출판되었다. 1974년 판의 결점(특히 색인)을 보완하기 위해 1985년 대폭적인 개정이 있었다. 1994Britannica online이 개발되었고, 그 해에 Britannica CD-ROM 버전이 첫 선을 보였다.

전체 3부로 구성(15판부터 현재까지)

- 소항목사전(Micropaedia, 12)

- 대항목사전(Macropaedia, 17)

- 색인(Index, 2)

- 지식의 개요(Propaedia, 1)

Encyclopedia Britannica DVD/CD

- DVD1, CD6장으로 구성

- Encyclopedia Britannica 인쇄판의 모든 항목 수록, 메리엄-웹스터 콜리지에이트 사전 수록

Encyclopedia Britannica online

- 전기, 잡지, 이미지와 지도, 애니메이션, 비디오와 오디오 파일 수록

- 200여 나라에 대한 지도, 기사, 통계, 인구통계 등 검색 가능

. The Encyclopedia Americana

Brockhaus 7판의 영향을 받아 중소 항목을 함께 채택한 대중적이고 실용적인 백과사전, 미국의 역사, 지리, 전기에 중점

Encyclopedia Americana CD

- 인쇄본 백과사전의 전문을 수록

- 멀티미디어 정보 부족

- 155,000개의 하이퍼텍스트 링크

Encyclopedia Americana online

- 간단한 질의에 해답하기 위해 사서나 일반인들이 선택하는 백과사전

- 전기를 포함하여 북미와 국제 범위에서 가장 강력

- EBSCO에서 공급하는 수천 개의 잡지 전문을 수록

. Microsoft Encarta Multimedia Deluxe Encyclopedia

Microsoft Encarta CD

- 사진과 삽화, 비디오와 애니메이션, 사운드 & 뮤직 클립

- 7~12세 아이들을 위한 Encarta Kids 수록

Microsoft Encarta online

- 자료를 찾을 수 있는 방법에는 백과사전, 사전, 시소러스, 월드 아틀라스, 멀티미디어가 있음.

      - 사전과 시소러스를 통해서 단어를 검색할 수 있고 영어단어는 스페인어,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로 스페인어,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단어는 영어로 번역할 수 있음.

- 월드 아틀라스에서는 세계 지도를 제공하고 지도는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볼 수 있고 프린트할 수 있음.

 

 

9. Wikipedia(주관식)

Wikipedia라는 이름은 하와이어로 빨리 빨리를 뜻하는 ‘wiki wiki’와 백과사전(encyclopedia)의 합성어이다.

2000년에 Jimmy WalesLarry Sanger를 편집장으로 영입해서 Wikipedia의 전신인 Nupedia를 만들었지만 발전이 더디고 사용자가 많지 않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다른 체제의 백과사전을 생각해냈고, 1년 뒤인 2001Wikipedia가 서비스되기 시작했다. Wikipedia에서는 누구나 자유롭게 글을 쓸 수 있고, 편집이 가능하여 참여, 개방, 공유를 표방하는 웹2.0의 대표적인 모델이 되었으며, 집단지성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Wikipedia의 특징은 개방성, 접근성, 수정, 검토, 토론이며, 오프라인을 오가는 커뮤니티가 있다. 현재는 비영리단체인 위키미디어재단에서 운영하고 있다.

 

10. 언어적 정보원의 정의

. 사전의 첫 번째 목적은 규정성 또는 규범성이며 1775년에 존슨이 이 원칙을 적용하였다.

. 사전의 두 번째 목적은 기록성 또는 역사성이며 용례주의라 한다. 용례주의의 대표적인 사전은 OED이다.

 

11. 언어적 정보원의 종류

. 일반언어사전

- 한 언어에 관한 모든 정보 즉, 발음, 유래, 철자법, 의미 등을 제공하는 포괄적인 사전

   ① 대사전(20만 단어 이상) 중사전(8~10만 단어 이상) 소사전(8만 단어 이하)

- 이와 유사한 구분 방법

    ① 완전판 사전(unabridged dictionary : 265,000 이상의 항목 수록) : 모든 단어를 다 수록하여 해설에 완전을 기하고자 하는 사전, OED, Webster's

    ② 요약한 사전(abridged dictionary) : 사전에서 기술된 내용을 요약하되, 완전판 사전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사전, Short OED

    ③ 데스크형 사전(desk dictionary : 139,000에서 180,000항목 수록) : 내용의 요약이 아니라 특정한 편찬 목적(예를 들면 대학생용 단어)에 맞추어 단어들을 선택하여 수록한 사전

    ④ 일반언어사전 : 각국의 원어사전, 번역사전, 다국어사전

 

. 특수사전

     ① 언어의 어떠한 특수한 면 즉, 어원, 동의어, 반의어, 속어, 구어, 방언, 용법 등과 같이 어휘의 종류별로 표출어를 선정하고 해설한 사전.

    ② ()의어 사전 : 색인을 통하여 접근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특색, 흔히 시소러스라고 불림.

    ③ 시소러스는 동의어, 반의어사전의 대명사로서 통용, 시소러스는 자동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모아 정리한 것에도 사용.

    ⑤ 어떤 표현에 적합한 낱말을 찾아내는사전

  

                                                      <시소러스의 예>

           과일 ----------사과  ---------- 홍옥              /           : 관련어(Related Term, RT)

상위어(Bold Term, BT)              하위어(Narrow Term, NT)

 

(Bold Term, BT) (Narrow Term, NT)

 

12. 언어적 정보원의 발전과정

. 우리나라

    ① 옛날에 나온 사전은 모두 한자사전. : 유란의 예부운략(1252)

    ② 조선조 세종대에 우리나라 최초의 운서인 동국정운 간행, 동국정운은 자음체계에 따른 발음자전임.

    ③ 우리말로 된 최초의 번역사전은 노한사전(1874)

    ④ 최초의 우리말 사전은 1936년 간행된 문세영의 조선어사전’, 초판에서 약 10만어 수록, 국어학자도 아닌 교사 개인의 힘으로, 일제의 탄압 하에서 이토록 큰 업적을 이루어 놓은 것은 실로 위대한 일

    ⑤ 1929년 한글날(1031) ‘조선어사전편찬위원회창립, 194210조선어사전이 인쇄에 들어갔으나 일제의 탄압으로 무산.

    ⑥ 1947년 한글날에 조선말큰사전간행, 1957년 전6권으로 완성, 언어사전으로서의 성격을 표방하면서 백과사전적인 성격을 가미

    ⑦ 1960년 이희승의 국어대사전은 백과사전적 정보를 수록한 사전적 사전으로서 수록 어휘수가 풍부하고(23만어), 정의의 정확성과 간결함으로 정평.

    ⑧ 1970년대에는 한국의 그림형제로 불리는 신기철신용철형제의 새 우리말 큰사전’(1974), ‘한국어대사전’(1976) 등이 출판됨.

    ⑨ 1970년대 이후부터는 사전의 전문화 현상이 나타나 각종 특수사전들이 속속 간행, 주제분야별 사전들도 광범하게 출판.

    ⑩ 1990년대 중반부터 CD-ROM 사전 발행, 시장을 형성하기도 전에 인터넷 사전으로 바로 발전, 웹을 통한 전자사전들이 1990년대 후반부터 속속 나타남. 현재 네이버, 다음 등을 비롯한 대부분의 검색엔진들이 국어사전과 각종 번역사전들을 온라인으로 검색, 또한 최근에는 휴대폰, 전자수첩 등 다양한 기기들에도 사전을 탑재.

 

. 구미

    ① 기원전 2300년까지 존재했던 에블라(Ebra) 왕국에 최초의 전자사전 존재(100여개의 점토판 사전).

    ② 오늘날의 완전판 영어사전은 초기의 다양한 소규모 사전을 점차 발전시킨 결과

    ③ 독일 : 그림형제의 ‘Deutsches WÖrterbuch'(1854~1960, 16)실증적 용례사전 역사주의적 사전의 효시(어원 강조)

    그림형제의 사전은 OED의 간행에 상당한 영향을 줌.

    ④ 영국 : Samuel Johnson1755'Dictionary of English Language' 간행

     ㉠신중히 선택된 43,500단어 수록 인용문을 도입하여 정의의 근거를 정확히 하고자 노력 저작의 용례 인용

    ⑤ OED : 용례주의 원칙, 영어사전의 황제, 순수언어사전

    ⑥ 미국 : 19세기초 Webster's Dictionary(1828~1934)는 지명, 인명 등의 사항을 포함시켜 60만 항목을 수록하며 최고의 기고자를 동원.

         Webster's에 필적할 만한 미국의 현대어 사전으로는 New Standard가 있음.

         Webster'sNew Standard의 권위에는 미치지 못하나 비교적 많이 활용되고 있는 현대어 사전으로는 Random House Dictionary가 있음.


'사서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조직론  (0) 2018.11.01
천재시대의 종말, 창조는 공유다  (0) 2018.10.27
도서관자동화 토픽  (0) 2018.10.26
인공지능  (0) 2018.10.25
인트라넷  (0) 2018.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