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후배간 동료 장학의 방안
1. 선후배간 동료 장학의 필요성
교사들이 교육전문직이나 교장․교감 등 학교 관리자에 의한 장학을 싫어하고 오히려 동료 전문가의 도움을 더 환영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동료 교사에 의한 상호 장학은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더구나 경험 있는 유능한 선배 교사가 후배 교사에게 학교 관리자를 대신하여 장학을 하면, 행정 계층에서 오는 위화감 없이 친근감을 갖는 분위기에서 도와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같은 처지이기 때문에 부닥치는 사정과 상황을 잘 이해할 수 있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2. 선후배간 동료 장학의 방안
가. 비공식적 관찰․협의 :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선후배 간의 동료 장학 방법으로서 후배 교사의 희망에 따라 선배 교사가 수업관찰을 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며, 관심과 문제점에 대하여 협의하는 방법이다.
나. 초점관찰-자료 제공 : 후배 교사가 관심을 갖는 내용에 초점을 맞추어 선배 교사가 수업관찰도구에 의하여 수업관찰을 하고 여기서 수집된 관찰자료를 후배 교사에게 전해주는 방법으로서, 분석이나 평가는 후배 교사에게 맡긴다.
다. 팀티칭 : 선배 교사라 할지라도 각각 강점과 약점을 갖고 있을 것이므로, 팀을 이룸으로써 약점을 보완하고 강점을 살려 후배 교사들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팀티칭 속에서는 선후배간의 1대 1 장학보다 자연스럽게 수업관찰을 하고 피드백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라. 선후배간 현직 연수 : 경험 있는 선배 교사가 후배 교사에게 주제가 있는 강연, 수업관찰 방법에 대한 강의, 실험․실기 연수를 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좋은 수업 또는 문제 있는 수업장면을 담은 비디오테이프나 교육용 비디오테이프를 시청하고 나서 토의․토론하는 것도 좋은 연수가 될 수 있다.
3. 선후배간 동료 장학 활성화를 위한 행정적․제도적 지원 방안
성공적인 선후배간 동료 장학을 위해서는 교육청과 학교의 행정적․제도적 지원을 필요로 한다.
가. 선후배간 동료 장학을 공식화․제도화하고 이를 실시하는 학교․교사들에게 유인가를 주어야 한다.
나. 교사의 자율성을 가능한 한 보장해 주고 학교 관리자가 깊이 개입하거나 간섭하지 않아야 한다.
다. 선후배간 동료 장학이 교사들의 호응을 받을 수 있도록 최대한의 재정적 지원을 해주어야 한다.
라. 선후배간 동료 장학의 성과를 확인하기 위해 교사들에게 또 하나의 잡무를 요구하거나 괴롭히게 되면 자발성에 근거한 동료 장학의 싹은 질식당하게 된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4. 결어
선후배간의 관계가 갈수록 소원해져가는 현재의 교단에서 교직의 전문성과 자율성에 바탕을 둔 선후배간 동료 장학은 장학의 효율성을 높이고 학교 관리자의 장학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는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학교장은 지도력을 발휘하고 치밀한 계획 하에 선후배간 동료 장학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2011.6.7.)
'교육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학지도 개선 방안 (0) | 2011.07.25 |
---|---|
효율적인 학교 시설 유지 관리 방안 (0) | 2011.07.02 |
수준별 실험 학습을 통한 자기 주도적 탐구 능력 신장 (0) | 2011.07.02 |
수업관찰 및 분석방법 (0) | 2011.06.10 |
교직원간의 갈등 해결 방안 (0) | 2011.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