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논문

가정에서의 독서지도

kdy820 2011. 5. 1. 17:58

가정에서의 독서 지도


 

김 대 영 <구미 황상초등 교사>


 

  키케로는 ‘책없는 방은 영혼없는 육체와 같다.’라고 했고, 데카르트는 ‘좋은 책을 읽는 것은 과거의 가장 뛰어난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는 것과 같다.’라고 하였다. 이런 말들은 책과 독서의 중요성을 일깨운 말이라고 할 수 있는데, 학교에서 어린이들을 가르치다 보면 요즘 어린이들은 갈수록 책을 적게 읽는다는 것을 느낄 때가 많다. 쉬는 시간이나 점심 시간에 학급 문고에서 책을 가져와 스스로 읽는 어린이는 독서 생활이 습관화된 어린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런 어린이들이 해마다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요즘 어린이들이 학교 공부를 마친 후에 집에서 쉴 틈도 없이 학원에 다녀와야 하고, 학교나 학원에서 배운 것을 복습하고, 숙제도 해야 하고, 학습지도 풀어야 하는 등 해야 할 일이 많아진 탓도 있고, 시간이 있다 해도 TV, 비디오를 보거나 컴퓨터 또는 전자오락을 하는 것이 책을 읽는 것보다 훨씬 쉽고 재미있기 때문에 일어난다.

  그 보다도 더 중요한 것은 가정에서 학부모들이 책을 읽는 모습을 보이거나, 자녀들에게 독서의 중요성을 일깨워 꾸준히 독서하는 습관을 길러 주어야 하는데, 바쁜 생활 탓에 자기 자녀들에게 이런 면에까지 관심을 가질 수 없게 된 까닭도 있을 것이다.

  어린이들이 어릴 때부터 독서에 취미를 붙이고, 좋은 책을 많이 읽으면 간접적인 생활 경험의 폭이 넓어지고, 올바른 사고력과 창의력이 길러지며 긍정적인 자아 개념을 갖게 하여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독서의 이로움은 수없이 많지만, 문제는 이러한 것들을 단기간의 독서로 한꺼번에 얻을 수 없다는 것이다. 독서가 생활화되어 학교나 가정에서 꾸준히 지속될 때, 위에서 열거한 좋은 점들이 어린이들에게 내면화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가정에서의 독서 지도도 학교 교육에 못지않게 중요한데, 독서 지도의 가장 좋은 방법은 부모가 모범을 보이는 것이다. 어린이의 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사람은 부모이고, 어린이는 부모의 행동을 보고 무의식 중에 많은 것을 배운다. 책 읽는 습관도 마찬가지이다.

  가정에서의 독서 지도는 무턱대고 하여서는 안되고 부모가 일정한 계획을 세워 자녀와 함께 실천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1일 1시간 이상 독서하기를 목표로 정하고, 자녀와 함께 1주일에 한 권의 책을 독파하도록 하여 1일 독서의 습관화를 들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 되겠지만, 시간이 허락하지 않으면, 주1회의 가족 독서의 날이나, 월1회의 가족 독서 토론의 날을 정하여 부모와 자녀가 그 동안 읽은 책에 대한 독후감 대화를 나누는 것도 좋을 것이다. 그렇다고 강제로 책을 읽게 하거나 독후감 쓰기를 강요하여서는 안되며, 어린이들이 독서에 흥미를 느껴 스스로 읽고 쓰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외에도 직접 책을 읽는 활동은 아니지만, 자녀와 함께 도서관을 방문하여 도서관 이용 방법을 지도하고, 서점에 같이 가서 자녀의 수준에 맞는 책을 선택해주는 것도 독서의 생활화에 많은 도움을 준다.

  최근 교육부가 발표한 ‘새로운 대학입학제도와 교육비전 2002 : 새학교문화창조’에 의하면 학생중심 교육과정 운영의 한 목표로 ‘학교교육의 꽃, 독서교육의 활성화’를 내세우고 있다. 이에 의하면, 계획적인 독서를 통해 인격을 도야하고 사고력과 창의력을 기르며,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특별히 지도하고, 특히 모든 교사가 도서관 및 독서 안내에 힘쓰고, 학생들이 도서관을 이용하지 않을 수 없도록 탐구와 조사 발표과제를 부여하며,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학생들 사이에 독서 붐을 일으키고, 개인별로 독서 목표를 세워 적극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독서 교육의 활성화는 가정과 연계되어 추진될 때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독서 지도에 대한 가정에서의 학부모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가족 단위 독서가 생활화 되면 학교의 독서 교육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고, 사회 전반의 독서 운동도 전개될 수 있으니, 모쪼록 학부모되는 분들은 가정에서의 독서지도에 관심을 가져 주기 바란다.(영남일보, 1999. 2. 24, 19면)

'교육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정 중심 글쓰기 지도 방법  (0) 2011.05.01
독서 토론의 실제  (0) 2011.05.01
창의적 체험활동의 이해  (0) 2011.04.29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0) 2011.04.29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이해  (0) 2011.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