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준별 실험 학습을 통한 자기 주도적 탐구 능력 신장 수준별 실험 학습을 통한 자기 주도적 탐구 능력 신장 대구가창초등학교 교사 김대영 Ⅰ. 필요성 실험은 과학 지식을 획득하고 검증하는 이상적인 방법이며, 과학적 연구의 한 가지 수단으로서 과학의 주요한 구성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이와 같이 과학에서 실험이 차지하는 비중은 아무리 강조해도 .. 교육논문 2011.07.02
수업관찰 및 분석방법 수업관찰 및 분석 방법 김대영 / 달성교육청 장학사 Ⅰ. 수업관찰의 목적과 전제조건 수업관찰은 어떻게 하면 수업이 잘 진행될 수 있을까를 연구하기 위해서 행해지는 수업개선을 위한 한 가지 방법이다. 따라서 수업관찰의 목적은 수업하는 과정에서 이를 방해하는 요인과 더욱 촉진시켜야 할 요인.. 교육논문 2011.06.10
교직원간의 갈등 해결 방안 교직원간의 갈등 해결 방안 김 대 영 (북대구초등학교 교감) Ⅰ. 문제 제기 21세기의 지식정보화 사회는 학교 교육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급속한 시대 변화에 따라 학교 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을 바꾸어야 하며, 이러한 변화는 학교 내외에서 여러 가지 갈등을 일으킨다. 다소간의 .. 교육논문 2011.05.16
국기배례 운동에서의 꾸준한 법적 발전 국기배례운동에서의 꾸준한 법적 발전 Continued Legal Developments on the School Flag Movement (Social Education 56(1), 1992, pp.52-54.) Benjamin Harrison이 1892년에 Columbus의 미대륙 탐험 400주년 기념일을 국경일로 선언하는 서명을 했을 때, 학교 아동들은 처음으로 그들의 영원한 충성을 맹세하기 위해 미국 국기 앞에 서게 되.. 교육논문 2011.05.14
훌륭한 시민적 자질의 의미 훌륭한 시민적 자질의 의미 What Does Good Citizenship Mean to Students ? (Social Education 56(1), 1992, pp.55-58, Thomas L. Dynneson) 훌륭한 시민적 자질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학생들이 어떻게 대답할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학생들이 훌륭한 시민은 좋은 사람이라고 대답할 것인가? 모든 선거에서 투표를 하는 사람? 규칙에.. 교육논문 2011.05.07
발문기법 발 문 기 법 1. 발문의 의의 학습요소의 내용과 방향을 제시하는 교수의 단서로 학습자의 사고를 유발시켜 새로운 탐색, 추구, 상상을 확대하고 사고나 행동을 안내하는 작용을 할 수 있도록 치밀하게 계획된 의도적 물음 ○ 수업목표 달성을 위한 중요한 도구이며 기술이다. ○ 학.. 교육논문 2011.05.01
반응 중심 학습법 반응 중심 학습법 김 대 영 (대구광역시달성교육청 장학사) 1. 반응 중심 학습법의 이해 문학 이론은 크게 세 가지 흐름을 가지면서 발전해 왔다. 작가를 중요시하던 낭만주의 단계, 텍스트에 관심을 두었던 신비평 단계, 독자에 관심을 두었던 독자 반응 이론 단계가 그것이다. 낭만주의 단계에서는 작.. 교육논문 2011.05.01
국어과 말하기 영역의 교수 학습 방법 국어과 말하기 영역의 교수 ․ 학습 방법 1. 말하기의 개념과 성격 말하기란 ‘화자가 자신이 의도한 내용(의미)을 음성 언어(말)로 변형하는 인지적 과정’일 뿐만 아니라 ‘화자와 청자가 시․공간을 공유하는 구두 언어의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상호 교섭하면서 함께 의미를 창조해 나가는 과정’.. 교육논문 2011.05.01
논술의 특성과 지도 방법 논술의 특성과 지도 방법 김 대 영 (대구광역시교육청 장학사) Ⅰ. 논술의 개념 논술이란 논리적으로 진술하거나 기술하는 것이다. 이 때의 진술 또는 기술은 설명, 묘사, 서사, 논증의 방법을 통해서 글을 쓰는 것이다. 즉 논술은 어떤 논제에 대하여 자신의 의견이나 주장을 내세운 다음 여러 가지 근.. 교육논문 2011.05.01
과정 중심 글쓰기 지도 방법 과정 중심 글쓰기 지도 방법 김 대 영 (대구광역시달성교육청 장학사) 1. 과정 중심 글쓰기의 성격 1970년대 중반 이후, 글쓰기의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는 교육이론가들이 등장하여 기존의 글쓰기 교육을 결과 중심이라고 비판하면서, 인지심리학 등 새로운 학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글쓰기에 대.. 교육논문 2011.05.01